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LAgent
- 머신러닝
- 인터럽트
- 네트워크
- 메모리
- 아두이노우노
- 에러
- 게임기획
- 반도체 취업
- 보안
- 아두이노함수
- 레지스터
- 반도체 엔지니어
- 이더리움
- 아두이노
- 네트워크보안
- Unity
- 유니티에러
- 던전앤파이터
- MuchineRunning
- memory
- 반도체
- 유니티
- neople
- 컴퓨터구조
- 메타마스크
- 던파
- 암호화
- 면접
- 네오플
- Today
- Total
Dreaming Deve1oper
메인 메모리, SSD, I/O의 구성 (Day 1) 본문
Main Memory(=RAM)는 System Bus (Address Bus, Data Bus, Control Bus)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Cache
-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중 빠른 시일 내에 CPU가 가져갈 것 같은 데이터를 미리 보관해둔다.
- Main Memory에 비해 속도가 매우 빠르다.
CPU는 Cache내에 있는 데이터를 먼저 찾는다 > Cache 내부에 데이터가 없으면 Main Memory 내부에 있는 데이터를 찾는다.
Main Memory
- Addressing Mode: 주소 지정 방식.
- RAM (m-Instruction)
- ROM (m-Instruction)
HDD / SSD Controller
SSD (=Disk, CD-ROM): RAM은 System Bus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만 SSD는 SSD Controller를 중간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내에 있는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SSD Controller에 적재하고 System Bus로 보낸 후 CPU로 가져오게 된다.
I/O / I/O Controller
I/O (=Keyboard, Printer) 역시 가운데에 I/O Controller를 보조 역할로 두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 CPU 입장에서 SSD, I/O는 똑같다.
Main Memory와 SSD의 차이점과 특징
구분 | Main Memory | SSD |
Access 방식 | CPU가 레지스터를 통해 Access하는 메모리 |
CPU가 별도의 컨트롤러를 통해 Access하는 메모리 |
Device 종류 | RAM, ROM, Cache |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ID |
특징 | Speed, Cost, Area, Capacity ↑ Volatile |
Speed, Cost, Area, Capacity ↓ Nonvolatile |
#최종정리
● CPU 입장에서 SSD와 I/O는 동일하게 취급.
● Status Register와 Data Register는 별도의 Address 할당.
● Device Controller에서 System Bus와의 연결 관할, 즉 CPU에서 직접 Access 못함.
● Keyboard, Printer : Byte (8bits) 단위로 전송.
● Secondarty storage Device : Block (512/1024/4096 Bytes) 단위로 전송.
● SSD: Controller 내에 한 Block 이상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Data Buffer 필요.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직 연산 (Day 2) (0) | 2022.03.19 |
---|---|
ALU 아키텍처 / Integer 표현 (Day 2) (0) | 2022.03.19 |
반도체와 시스템의 발전 (Day 1) (0) | 2022.03.13 |
컴퓨터 구성품의 연결 (Day 1) (0) | 2022.03.13 |
CPU의 구조/구성 (Day 1)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