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aming Deve1oper

Scheduling_3 본문

운영체제

Scheduling_3

주현테크 2021. 12. 1. 14:03

Scheduling

 

HRRN [Highest Response Ratio Next]

  • 준비 큐에 있는 프로세스 중 R 값 (응답 비율)이 가장 큰 프로세스를 다음번 프로세스로 선택.
  1.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에 머문 시간(즉, 프로세스의 나이)을 고려해야 한다.
  2. 서비스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의 R 값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짧 은 프로세스를 우대하는 면도 있다.
  3. 대기 시간 때문에 시스템에 오래 머문 긴 프로세스도 오래 머물면 머물수록 R 값이 커지기 때문에 홀대 받지는 않는다.

 

  • 응답 비율의 정의

 

R= 응답 비율

W= 처리기를 기다리며 대기한 시간

S= 예상되는 서비스 시간

 

 

피드백 스케줄링 [Feedback Scheduling]

  큐 RQ0 ~ RQn-1 : FCFS 방식 /  큐 RQn : 라운드-로빈 방식

  1. 프로세스들의 예상되는 서 비스 시간을 미리 알아낼 필요가 없다
  2. 중단점을 만날 때마다 프로 세스는 한 단계 낮은 우선 순위의 준비 큐로 강등되어 진입
  3.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일수 록, 그리고 짧은 프로세스 일수록 오래된 프로세스나 긴 프로세스보다 우대 받는 정책
  4. Multilevel Feedback Queue의 구조를 갖게 됨

변형 1 : 모든 큐에서 고정된 시간 할당량이 있는 라운드 로빈 방 식으로 스케줄링

  └ 짧은 프로세스가 계속 진입하는 경우 긴 프로세스가 불이익을 받음

변형 2 : 시간 할당량의 크기를 큐 별로 다르게 함

  FCFS 라운드 - 로빈 SPN SRT HRRN 피드백
선택함수 max[w] 상수 min[s] min[s-e] (s/w+s) 본문참조
결정모드 비선점 모드 선점모드
(시간 할당량 만료 시점)
비선점 모드 선점 모드 비선점모드 선점 모드 
(시간 할당량 만료 시점)
처리량 고려 안함 시간 할당량이 아주 작으면 처리량이 아주 낮을 수 있음 높음 높음 높음 고려 안함
응답시간 길어질 수 있음. 특히 각 프로세스의 총 실행 시간 편차가 클 경우 응답시간이 안좋을 수 있음 짧은 프로세스에 불리함. 입출력 중심 프로세스에 불리함 짧은 프로세스에 좋은 응답 시간을 제공함 좋은 응답 시간을 제공함 좋은 응답 시간을 제공함 고려 안함
오버헤드 최소 최소 커질 수 있음 커질 수 있음 커질 수 있음 커질 수 있음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짧은 프로세스에 불리함; 입출력 중심 프로세스에 불리함 모든 프로세스에 공정함 긴 프로세스에 불리함 긴 프로세스에 불리함 어느정도 공정 입출력 중심 프로세스를우대하는 경향 있음 
기아상태 가능성 없음 가능성 없음 가능성 있음 가능성 있음 가능성 없음 가능성 있음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heduling_2  (0) 2021.11.24
Scheduling  (0) 2021.11.17
Virtual Memory_2  (0) 2021.11.17
Virtual Memory  (0) 2021.11.10
Loading/Linking  (0) 2021.11.1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