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터럽트
- 아두이노함수
- 보안
- 던전앤파이터
- 던파
- 메모리
- memory
- 반도체 엔지니어
- 머신러닝
- 네트워크보안
- Unity
- neople
- 게임기획
- 암호화
- 반도체
- 아두이노
- 컴퓨터구조
- 메타마스크
- 유니티에러
- 레지스터
- 네오플
- 네트워크
- MuchineRunning
- 이더리움
- 에러
- MLAgent
- 아두이노우노
- 유니티
- 반도체 취업
- 면접
- Today
- Total
목록명령어 (2)
Dreaming Deve1oper

명령어 주소지정(Addressing Mode) 방식 정해진 명령어의 비트들은 그 수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이다. 그 안에 오퍼랜드들만으로 메모리를 지정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다. 더 큰 용량의 메모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된다. 이미 설계된 CPU의 종류마다 그 수가 매우 다양하고 다르게 제안되어 있다. 1. 즉치 [Immediate Addressing Mode] - 프로그램에서 상수 값으로 사용된다. - 명령어 내의 오퍼랜드가 실제 데이터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 CPU는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인출하는 과정이 필요없다. (ea가 필요없음) 2. 묵시적 [Implied Addressing Mode] - 명령어 내에 필요한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지 않는다. - 쉬프트 ..

명령어 세트 (Instruction Set) CPU의 기능은 이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들의 수와 종류는 CPU에 따라 많이 다르다. 명령어 세트 정의를 위해 결정되어야 할 항목 오퍼랜드의 CPU 기억장소 스택 (stack) 범용 레지스터 (GPR) 누산기 (Accumulator) 연산명령어 CPU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들의 수와 종류 오퍼랜드 / 명령어 일반적인 명령어가 처리 가능한 오퍼랜드의 수 오퍼랜드의 위치 CPU의 외부 혹은 내부 Reg-to-Reg, Mem-to-Reg, Mem-to-Mem 오퍼랜드 오퍼랜드의 크기와 형태 정의 방법 Stack Architecture 장점 단점 코드가 짧아 효율적이다. 표현이 간단하다. 코드를 만드는데 비효율적이다.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Accumulator A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