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aming Deve1oper

에너지와 녹색산업 퀴즈 본문

etc.

에너지와 녹색산업 퀴즈

주현테크 2021. 12. 13. 04:01
다음 중 지열원의 형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용융마그마
다음 중 지열에너지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지열발전을 위해 지상에서 지하심층으로 물을 강제 주입하는 과정이 사용된다
지열의 분야별 활용도를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히트펌프 > 목욕 > 온실 > 산업용
히트펌프(35%) 목욕 (26%) 난방 (22%) 온실 (8%) 양식업(4%) 산업용 (3%)
[O/X 선택형] 
아시아 최초로, 화산지대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지열발전소가 세워진 곳은 대만의 '베이터우' 라는 곳이다.
2. 거짓
경상북도 포항시 홍해입이 첫번째
다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열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 이것에는 열교환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 파이프가 이것의 성능을 결정하는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 열매체로 부동액이 주로 사용된다
1. Heat Pump
다음 중 지열을 사용하여 주택과 온실의 집단 난방에 이용한 최초의 국가는?
하나를 선택하세요.
4. 아이슬란드
다음 중 지열발전에 사용되는 지열원 중 열교환기를 필요치 않는 것은?
하나를 선택하세요.
1. 고온습증기
2. 가압소금물
3. 중온수
4. 저온수
[단답형 주관식] OOOO에 들어갈 네 글자를 넣으시오. (반드시 한글로 답할 것. 영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답할 경우 오답처리 됩니다.)
다음 그림은 지열발전의 유형 중, OOOO 사이클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바이너리
[단답형 주관식] (     )안에 들어갈 숫자를 넣으시오. (반드시 숫자로 답할 것. 영문자 또는 한글, 기호 등으로 답할 경우 오답처리 됩니다.)

지열의 근원: 총 지열의 크기를 100%라고 할 경우, 그 중 (      )%는 지구내부의 핵 안에서 여러 가지 광물질의 방사선 동위원소 붕괴가 일어나면서 계속 발생되는 열이며, 그 나머지 지열의 근원은 지구가 처음 탄생될 때 저장 되었던 열이다.

30
세계에서 가장 큰 지열발전소가 위치한 국가는?
하나를 선택하세요.
3. 미국
다음 중 소수력발전의 입지조건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3. 도로에서 떨어져 있으며 산림이 풍부하고 유역면적이 큰 곳
도로가 인근에 있어야함
다음 그림이 묘사하고 있는 수력발전의 유형은?
3. 댐수로식
다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구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달과 질량이 가장 큰 태양 간의 상호 인력작용에 의해 해면이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 현상은?
4. 조석
다음 중 해양에너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부력
파도, 조석, 조류, 온도구배, 기계적 에너지, 염수구배가 해양 에너지
다음 중 조력발전과 관련이 먼 것은?
1. 발전시기와 발전량 예측가능 (가능)
2. 시화호 
3. 기조력
4. 공기터빈형 발전기 사용 (파력임)
다음 그림에 보이는 파력발전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폰툰형
다음 중 수력발전에 대한 옳은 설명은?
1.전세계 수력 발전량은 전체 전력 생산량의 약 35%를 차지하고 있고, 라트비아, 볼리비아, 중국, 케냐, 스웨덴 등은 수력발전의 비중이 큰 나라들이다
2.수력은 화석에너지 뿐만 아니라 지열, 풍력과 같은 다른 신재생 에너지원과 비교해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적은 청정에너지이고, 농업용수 공급이나 홍수조절, 각종 용수 공급 등 수자원 관리, 토사유출 방지의 효과가 있는 등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존에 유리하다
3.수력은 발전 준비과정이 짧고 발전량이 일정하므로, 전력 수요변화, 특히 전력수요가 피크일 때 가장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주된 발전수단으로 사용된다
4.수력발전은 규모에 따라 대수력, 중수력, 소수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수 국가에서 소수력 발전을 신재생에너지에 포함시키고 있다
다음 중 조류발전기의 구조 및 구동 원리와 유사한 것은?
3. 풍력발전기
다음 중 해양에너지의 특징과는 거리가 먼 것은?
1. 에너지량이 작다
2. 에너지 밀도가 낮다
3. 육상 송전이 어렵다
4. 건설 입지선정이 까다롭다
수력발전 중, 신재생에너지에 속하는 소수력발전의 일반적 규모는?
2. 10메가와트까지
10000KW
수소제조 방법 중 제조비용이 제일 저렴한 것은?
1. 석탄의 가스화
2. 풍력발전을 이용한 물의 전기분해
3.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물의 전기분해
4. 천연가스의 수증기 개질
다음 중 수소연료전지가 생산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전기
2. 열
3. 수소
4. 물
다음 중 수소에너지에 관한 설명 중 적절치 않은 것은?

1. 물의 전기분해과정을 거쳐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화력발전 대신 태양광발전 또는 풍력발전 등의 청정에너지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이들의 고비용 때문에 경제성이 상실된다
2. 수소의 생산과 소비 전과정에 걸쳐 100% 무공해이다
3. 물의 전기분해 대신, 화석연료로부터 수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이산화탄소가 부산물로 발생하므로 청정에너지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4. 물의 전기분해과정을 통해 청정에너지원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전기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화력발전을 가동시켜야 하는 아이러니가 있다 (청정에너지원이라고 부르는 수소를 만들기 위해 화력발전을 사용함으로써 공해, 환경오염 등이 발생하므로, 수소에너지가 실제 청정에너지원으로 평가될 수 있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가 있다)
연료전지의 가격이 고가인 이유는?
2 .고가의 촉매
수소와 관련된 문제점들 중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것은?
1. 저장
[단답형 주관식] 다음은 연료전지의 셀과 스택을 보여주고 있다.
연료전지 셀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인 C의 명칭은 OOO이다. OOO에 들어갈 한글 세글자를 쓰시오.

촉매제
수소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물을 전기분해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1. 투입한 에너지에 비해 수소의 생산량이 작기 때문에
2. 고순도의 수소를 얻기에는 적합한 방식이 아니므로
3. 전기분해 과정이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4. 폭발 등의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방식이므로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의 효율은 다른 에너지변환 시스템보다 매우 높다.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열까지 활용하는 경우, 연료전지의 총 에너지변환 효율은 대략 어느 정도인가?
1. 60%
2. 40%
3. 80%
4. 20%
다음 중 연료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효율은 30% 내외이다 (40~60%)
2. 발전기이다
3. 연료로 천연가스를 사용한다 (천연가스, 메탄올, 알코올 등등...)
4. 셀은 내부에 여러 개의 스택으로 구성된다
다음 중, 향후 어떤 분야가 연료전지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1. 수송용 연료전지
2. 발전소용 연료전지
3. 가정용 연료전지
4. 산업(제조업)용 연료전지
패시브 하우스에서 사용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에서, 차갑고 신선한 외부공기를 뎁혀주는 것은 무엇인가?
1. 태양열
2. 환기장치 자체의 발열
3. 내부공기
4. 지열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플러스에너지 하우스 
2. 제로에너지 하우스 (친환경)
3. 패시브 하우스 (친환경)
4. 액티브 하우스 (친환경)
아래 그림은 어떤 친환경 자동차의 동력전달구조를 묘사한 것인가?
1. 수소차
2. 전기차
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4. 하이브리드차
[단답형 주관식] 패시브 하우스는 냉방 및 난방을 위해 건물면적 1평방미터당 연간 (    )리터의 석유를 사용하는 건축물을 의미한다.

1.5
패시브 하우스에서 채택되어지는 가장 중요한 기술은?
1. 미기후 이용
2. 신재생에너지 이용
3. 채광
4. 단열 및 기밀 (기밀)
다음 친환경 자동차 중, 연료탱크와 배터리 두 가지 모두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은?
1. 하이브리드차
2. 수소차
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4. 전기차
옥상녹화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에너지절약 뿐 아니라 차음 차폐의 효과
2. 태양 자외선 차단으로 건물 옥상의 방수층 보호
3. 1970년대 오일쇼크를 계기로 급속히 확산
4. 독일에서 19세기부터 주택을 활용한 농경을 위해 지붕에 흙을 덮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조성 물질 중 가솔린 자동차 배기가스 물질 이외에 추가로 들어있는 것은?
1. 질소산화물
2. 탄화수소
3. 미세먼지
4. 일산화탄소
아직까지는 친환경 자동차가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대중화되지 못하는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성능테스트 결과 조작 등과 같은 고객기만 행위
2. 고가의 차량가격
3. 충전 인프라 부족
4. 내연기관차의 배출가스 및 주행성능 향상
[단답형 주관식] 아래 그림과 같은 차양 장치의 명칭은 (           )이다.
수직루버(?)
숨겨진 에너지를 발굴하거나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기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Energy recycling
2. Energy conserving
3. Energy harvesting
4. Energy saving
에너지 수확에 사용되는 두 가지 주된 원리는?
1. 광전효과와 전자기 유도효과
2. 전자기 유도효과와 열전효과
3. 열전효과와 압전효과
4. 압전효과와 광전효과
리튬이온전지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메모리 효과가 없다
2. 용량 확장성이 좋다
3. 에너지 밀도가 높다
4. 주변환경에 대한 민감성이 낮다
압전효과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트의 예가 아닌 것은?
1. 담배불용 소형 라이터
2.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한 슬리핑백
3. 무건전지 리모컨
4. 가스레인지 점화스위치
리튬이온전지를 충전하는 동안 음극에 저장되는 물질은?
1. 리튬이온
2. 수은이온
3. 납이온
4. 탄소이온
원통형태의 리튬이온전지 단위셀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1. 30440
2. 18650
3. 25960
4. 53470
플라이 휠은 에너지를 어떤 형태로 저장하는가?
1. 물체의 회전력
2. 물의 압력
3. 공기의 압력
4. 열매체의 온도
우리나라에서 전력피크에 대응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물리적 에너지 저장 방식은?
1. 양수 발전
2. 태양광 발전
3. 압축공기 저장
4. 플라이 휠
ESS에 관한 내용 중 적절치 않은 것은?
1. 현재 전세계 ESS의 대부분은 양수발전이 차지하고 있다
2. 비배터리 방식은 설치장소에 제약이 있다
3. 단위 저장에너지당 가격이 가장 저렴한 ESS는 플라이휠이다
4. 리튬이온전지는 가격이 높고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리튬이온전지를 구성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분리막
2. 노블메탈
3. 흑연
4. 전해액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알파벳/숫자, 제곱(=^, 승) 나타내기  (0) 2022.04.18
에너지와 녹색산업 정리_1  (1) 2021.12.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