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열 에너지 (Geothermal Energy): Geo라는 지구와 Termal이라는 열의 의미를 갖는 어원의 복합어로 지구의 열을 의미.
- 지열은 유일하게 태양으로부터 독립적인 재생 가능한 에너지이다.
- 근본적으로 지구 내부의 에너지에서 발생한다.
- 화산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 마그마의 분출로 지구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많은 지역에서 오래 전부터 온천을 이용해 왔고, 온천수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해 왔다.
지열 에너지
열
지각 판, 화산, 지진 등이 원인이 됨
지각 판의 운동으로 인해 지구의 고온 내부로부터 지구 표면으로 흐르게 됨
- 지구의 온도는 깊이에 따라 점점 증가하며, 중심부의 온도는 4200℃ 이상이다.
심층에 위치한 고온 지열 에너지는 시추공을 통해 지열수가 추출되거나 물을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고온의 물 혹은 수증기를 생산한 후 그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지열 발전.
지중의 열을 직접 공급해 건물과 축사의 난방, 식물의 재배, 목재의 건조, 물고기 양식 등에 사용하는 냉난방 시스템에 주로 이용.
2) 지열 이용의 역사
- 인류는 지열 에너지를 수 세기 동안 공간난방과 온수, 요리, 의료, 목욕 등과 같은 분야에서 넓게 사용해 왔다.
- 고고학자들은 수 천년 전에 미국 사우스 다코다에서 인디언들이 온천을 치료목적, 식수, 숭배의 대상으로 사용했음을 발견했다.
- 2000년 전 로마 목욕탕 -
3000년 전
2000년 전
중국 주나라 시절 시안 부근에 화청지에서 온천을 이용했으며 그리스 문명도 온천과의 연관성이 많았음
로마시대에는 온천 열을 이용하여 대중목욕탕의 목욕과 난방에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존재함.
- 1904년 이탈리아의 라르데레로(Larderello)에 위치한 붕산제조공장에서 지놀 콘티가 지열 증기로 전기 250kW를 생산한 것이 지열 발전의 시초.
- 현재에도 535MW의 지열 발전소가 그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 1912년 위스의 하인리히 조엘리가 지열을 끌어올리는 특허인 히트펌프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출원함.
- 1920년대 주택과 온실의 집단 난방을 위한 온수의 사용은 아이슬란드의 라이캬비크에서 최초로 시도됨.
- 아이슬란드는 국가 에너지 공급의 53%를 지열이 담당하고 있는 지열 에너지 강국.
- 50년만에 1958년 두번째 지열 발전소가 뉴질랜드 북섬의 와이라케에 세워짐.
- 196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 북쪽에서 약 1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지열발전소(1517MW)인 가이저 발전소가 가동됨.
- 2017년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에 약 6MW급 우리나라 최초의 지열 발전소가 가동되었음.
- 화산지대가 아닌 곳에 지열 발전소가 건립되는 것은 아시아에서 처음이며, 전세계적으로는 프랑스와 독일에 이어 세번째.
3) 지열의 근원: 지구과학적 지식
구분
내용
내핵
고체상태 지구 반경으로부터 반경 약 3,470Km
외핵
고온의 마그마로 이루어짐 지구 반경으로부터 반경 약 34,70Km
맨틀
마그마와 암석으로 이루어짐 약 2,900Km 아래
지각
지표에서 약 25~65Km 깊이에 있음
내부의 핵
마그마
암석이 녹은 마그마 상태 계속하여 고체상태의 암석을 녹임
대류현상에 의해 계속적으로 맨틀과 지표로 보내짐
- 열에 의해 지구 내부의 온도는 5,000℃ 이상
구분
온도
지각
약 15℃
2Km
약 65 ~75℃
3Km
약 90 ~ 105℃
- 평균적으로 약 2.5 ~ 3℃/100m의 온도 증가를 보이지만 화산활동이 활발한 지역은 마그마가 지표 가까이에 있으므로 지표 부근의 온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 평균적으로 지각의 온도는 15 ~ 540℃를 유지하며, 깊이가 깊을수록 온도는 높게 된다.
■ 지열을 많이 이용하는 곳
지각판이 서로 마주치고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곳인 환태평양 주위
우리나라는 백두산, 한라산에 수차례 화산이 분출됐다는 기록이 있고 한반도의 백두산부터 추가령지구대를 통해 한라산에 이르는 지대는 지열자원이 확보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동해의 높은 지열과 한반도 전 지역에 흩어져 있는 온천의 분포도를 볼 때 일본 열도와 인접한 지역이 높은 지열이 있음이 짐작됨
4) 지열의 근원: 지열의 활용
- 지열의 구분 -
- 온도에 따라서 직접 난방, 히트펌프 또는 전기발전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됨
- 발전 분야를 제외하고 이용되는 지열의 35%가 지열 열 펌프(히트펌프), 목욕에 26%, 난방에 22%, 온실에 8%, 양식업에 4%, 산업용이 3%등에 사용됨.
저온: 10℃~66℃ (증기이용 전기 발전)
중온: 95℃~149℃ (바이널리 지열발전: 전기생산)
고온: 177℃~370℃
- 중/저온 지열 에너지의 직접 이용방법 -- 중/저온 지열 에너지의 간접 이용방법 -
5) 지열의 근원: 지열원
온도 180 ~ 350℃ 이상의 고온 지열유체
온도 100~180℃의 중저온 지열유체
전기 발전에 사용
필요한 곳에 직접 공급
지열유체 (Hydrothermal Fluid) [가압소금/고온암반]
- 지열수 또는 증기를 의미.
- 지표로부터 100m~4.5Km 사이에 위치한 대수층 암반의 틈 또는 암반의 구멍 안에 형성된 고온수나 증기의 형태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름)로 나타남.
증기 에너지의 획득 방법은 지표의 불침투성 암반 및 대수층을 천공하여 고온수 또는 증기를 추출
- 얻을 수 있는 3가지 형태의 에너지 -
■ 지열원
지구의 압력으로 눌려서 가압된 대수층 퇴적암에서 발견되는 메탄이 포화된 고온 고압의 소금물
소금물과 메탄은 깊이 3~6Km에서 퇴적암에 존재하며 물의 온도는 90~200℃
지구의 암력으로 가압된 소금물
주로 멕시코 만의 북부지역에서 이러한 가압 소금물이 발견됨
■ 고온암반
마그마 부근의 불침투성 암반을 의미하며 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고온 건조암이라고 함
지구 표면으로부터 8~16Km 깊이에 위치함
고온암반까지 깊이 시추해야하며 암반 내에 넓은 열교환 지역을 만들어야 하므로 고비용이 요구됨
6) 지열 발전
■ 건증기(Dry Steam) 발전
물은 없고 지열 증기만 존재하는 대수층까지 시추하여 180~350℃의 고온 가압된 건증기를 추출함
추출된 증기가 발전소의 가스터빈을 통과하면서 전기가 생산됨
터빈을 통과한 증기는 응축기에서 물로 바뀌어 배수정을 통해 그대로 지층으로 방출됨
에너지 변환 효율은 약 30%이며건증기 내에 비응축성 가스인 이산화탄소, 수소 황화물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터빈의 효율을 감소시키며 환경 보호를 위해 이러한 가스를 제거하는데 부가적인 비용이 소요됨
건증기 발전은 단순하면서도가장 경제적인 기술로 널리 상용화되어 있음
■ 습증기(Flash) 발전
습증기 기술: 지열원이 액체 형태로 존재하는 곳에서 사용됨
지열원인 액체보다 훨씬 저압인 플래시 탱크로 액체가 분무되면 액체는 급속히 증발되어 증기로 변함
액체에서 변환된 증기는 건증기 발전소와 같이 터빈에서 팽창되어 터빈을 구동하고 발전기와 연결되어 전기를 생한함
미네랄과 소금이 함유된 염수는 플래시 탱크에서 증발되지 않고 방출됨
■ 더블 플래시 (Double Flash) 발전
초기1차 고압 플래싱 후에 남아 있는 플래시 되지 않은 액체가 2차 저압탱크(플래시 탱크)를 지나치면서 다시 한 번 추가적인 증기를 발생하게 됨.
증기는 2차 터빈을 구동하여 발전 효율을 20~25%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설치비 부담은 5% 정도임.
■ 이중 사이클 (Binary Cycle) 발전
지열원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중온수 또는 지열원이 화학적 불순물을 많이 함유하여 증발하지 못하는 곳에서 사용됨
이중 사이클 과정에서 지열수는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물보다 낮은 비등점을 갖는 유기혼합물인 이소부탄 또는 펜탄 등의 제 2유체를 기화시킴기화된 제 2유체는 터빈을 회전시키면서 기체로 팽창 > 팽창된 기체는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다시 열교환기로 이동하여 재사용됨 > 사용된 지열수는 지하로 배출됨
이중 사이클 발전은 습증기 발전보다 비용이 많이 들지만,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낮은 온도의 열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부식 문제를 피할 수 있음.
■ 고온암체 (Hot Dry Rock) 발전
화산지대 가까이의 지하 약 5Km에는 마그마의 온도의 영향으로 가열된 고온의 암체가 있고 그 대부분은 화강암임
암석은 낮은 열전도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열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넓은 열전달 면적이 필요함
암석 내에 주입된 물이 고여 있는 고온의 인공 저류층을 만드는 기술 실제로는 여러 개의 배수정과 유입정을 뚫어 많은 양의 지열수를 끓어 올림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기술, 심부지열 발전기술, 인공저류생성발전기술이라고도 부름.
■ 지열 발전의 장/단점 : 환경적 측면
장점
1. 지열 에너지는 열 또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연소를 필요로 하지 않음
2. 지열 발전소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적은 양의 이산화황을 배출하므로 대기오염, 환경 규제 기준을 쉽게 만족함
3. 건조 증기 발전소와 플래시 증기 발전소는 주로 수증기를 배출하며 이중 사이클 발전소는 가스 배출이 없음
4. 지역 발전소는 넓은 부지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음
5. 지열 발전소는 mw당 1~8arce 부지가 필요하므로 원자력 발전소 (5~10acres/MW), 석탄 화력발전소 (19acres/MW)와 비교하여 환경적, 경제적으로 유리함
단점
1. 여러 개의 유입정과 배수정이 필요하므로 토양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층의 침강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존재함
2. 지열 발전소를 시공하는 동안 우물 천공할 때와 시험운전 중 고압증기 배기관에서 소음공해를 유발함.
■ 지열 발전의 장/단점: 경제적 측면
장점
1. 에너지수입 의존도를 감소시키므로 국가경제 및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긍정적
2.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시간이 기존의 타 발전소보다 높음
3. 하루 24시간 운영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날씨나 연료공급과 무관하게 작동
4. 지열 발전소는 모듈화가 가능하여 확장 및 축소의 유언성이 높음
5. 출력은 필요한 만큼 확장 가능하므로 초기의 높은 투자비용을 회피할 수 있으며 발전소 건설 기간이 1~2년 정도로 짧음
6. 발전소 부지면적 요구조건이 작아서 환경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도 타 발전소보다 유리함
단점
1. 초기 개발의 위험성이 존재함
2. 지열원 탐색, 시추, 표면개발 작업에 관련된 비용 지출이 크고 많은 시도 후에도 사용 가능한 열원을 찾지 못할 위험성이 큼
3. 지열 유수지의 일정 기간 사용 후 고갈 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지하 열원을 개발해야 함
7) 지열원의 직접 이용
저온 또는 20~150℃ 중온수의 지열원
가정, 사무실, 세탁소, 온실, 온천, 양어장, 음식물 건조 및 보관시설, 광산 등과 같이 주거용, 산업용, 목적으로 직접 열을 사용할 수있음.
가정과 상업용의 운영에서 지열 에너지의 직접 사용
전통적인 연료의 사용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화석연료와 비교하여 80% 정도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음
환경 친화적이며 화석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공해와 비교하면 아주 적은 양의 공해만을 배출함
지열원을 직접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열 열 펌프를 이용해야 함
■ 지열 열 펌프의 개념
지열 열 펌프: 펌프가 물을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퍼올리는 기계라는 의미와 마찬가지로 열 펌프란 온도가 낮은 곳을 온도가 높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열을 이동시키는 장치
고효율의 재생에너지 기술 중 하나로 1940년대 후반부터 주거용과 상업용 건물 분야에 적용됨.
온수뿐만 아니라 공간의 냉난방에도 사용되며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생성되는 열의 이동보다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열을 이동시킨다는 장점 존재
많은 국가들이 지역에 따라 계절의 극한 온도가 여름철에는 혹서로부터 겨울철에는 영하 이하로 내려가지만 지구 표면의 지하로 수 미터 깊이에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겨울에는 지표 위보다 따뜻하며 여름에는 지표 위보다 차가움
국가가 위치한 위도에 따라 7~21℃의 지열 온도를 보이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평균 약 15℃ 정도의 지열을 유지
여름과 겨울이 확연한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서 지중 15℃는 여름대기(30℃)보다 차가워 열을 버리기 쉬우며 겨울대기(-10℃)보다 따뜻하므로 열을 취득하기 쉬움 (여름과 겨울이 확연한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우수)
- 히트펌프 동작 원리 -
■ 에어컨 동작 원리(공기열원에 의한 히트펌프)
효율을 높이려면 실외 응축기에서 열을 쉽게 방출하게 해줘야함 > 에너지사용절감
공기로 식히는 것보다 찬물로 식히면 에너지 소비를 37% 절감 가능
지열 열 펌프의 원리: 찬물의 개용으로 차가운 지하수 또는 지하에서 차가워진 열매체를 사용하는 것
■ 난방 동작 원리(공기열원에 의한 히트펌프)
효율을 높이려면 실외 증발기에서 열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해줘야함 > 에너지사용절감
공기로 데우는 것보다 더운물로 데우면 에너지를 절감
지열 열 펌프의 원리: 더운물 대용으로 지표보다 따뜻한 온도의 지하수 또는 지하에서 따뜻해진 열매체를 사용하는 것
- 지열 열 펌프 시스템의 유형 -
1. 수평형 밀폐회로 시스템
2. 수직형 밀폐회로 시스템
3. 지표수 이용 밀폐회로 시스템
4. 지표수 이용 개방회로 시스템
구분
내용
지중 열교환기 파이프
시스템의 전체 성능 및 비용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택 시 신중을 기해야 함
현재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부틸렌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며 이들 재료는 유연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열을 가하면 쉽게 연결이 가능함
지중 열교환기 파이프의 크기 결정
지중 열교환기 내부를 순환하는 유체와 토양 사이의 열전달뿐만 아니라, 유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순환펌프가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